본문 바로가기
IT 기본개념

[IT정보관리] MDM(Master Data Management)

by 라이프해커 김탁구 2022. 11. 23.
반응형

1. MDM 개요

1) 기준정보(Master Data)의 정의

- 기업의 핵심자산(Key Asset)으로 Business Transaction에서 동일한 형태로 사용되는 표준 데이터 정보 입니다.
2) MDM(Master Data Management)의 정의
-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개별 관리되는 기준 정보를 마치 한 곳에서 관리하는 것처럼 정합성을 유지시켜주는 기법 입니다.
3) MDM의 등장배경
- 데이터 관리 비효율적 : 표준 프로세스 및 분류체계 부재로 유형별 관리현황 파악이 힘들며, 균질의 정보 유지가 힘듭니다.
- 데이터 무결성 유지 어려움 : 표준화 Value가 명확히 수행되지 못하며,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동일 정보가 상이한 정보로 인식하게 되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됩니다.

- 데이터 기준 부재 : 일부 이해관계자 관점의 정보 관리로 동일 정보를 사용하는 타 이해 관계자의 정보 활용이 어렵고 의사소통에 서로 다른 의견을 제시하게 됩니다.

- 데이터 관리 : 비용 증가 수집되는 자료 관리가 어렵고, 효율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발생 됩니다.

4) MDM의 주요 역할

      - 마스터/기초 코드 통합관리 : 전사관리 코드의 단일 등록 창구, 통합 Repository 관리

      - 데이터 관리 : 데이터 품질, 등록/수정에 대한 절차 및 Lifecycle 관리

      - Publishing : 외부 시스템에 인터페이스 및 MDM Global 운영

 

2. MDM 구성요소

구성요소 내용 비고
Repository 조직내 흩어져 있는 기준정보를 모아놓고,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한 정보의 저장소 DB2, Orcle
데이터체계관리 기준정보의 속성/코드/분류에 대한 체계 및 변경 이력을 관리 표준정의
프로세스 관리 기준정보 접근 및 권한에 대한 프로세스 관리 표준프로세스,
Workflow
EAI MDM Legacy의 이기종간의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소통하여 관리 효율성을 증대 미들웨어, 아답터

 

3. MDM 프레임워크

특성 설명
Master Data 기업 비즈니스의 핵심 요소 데이터
(고객,계좌,공급자,제조협력사,제품,제제,청구,수납,거래내역,지역 등)
Master Data Intergration 광범위한 MDM 구축과 기존 시스템을 유지함에 따른 연동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통합 수행
MDM DB 표준화된 마스터 데이터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MDM Application 마스터 데이터의 생성, 변경, 삭제, 관리 및 검색 workflow

4. 기준정보관리의 유형

1) Hybrid(하이브리드)/Centralized Master(중앙 마스터)  
- 속성을 중앙 저장소에 운영
- 통합의 가치를 공유
- 기준정보 수정 시 다른 연계 Application에도 배포
2) Transaction Hub(트랜잭션 허브)  
- 기준정보를 단일 Repository를 사용 관리
- Repository에 모든 속성 운영
- 모든 액세스는 서비스 계층관리
3) Virtual/Registry(가상/레지스트리)  
- 기준정보를 색인 값으로 식별
- 고유 Entity 특성을 파악 생성
- 속성 색인 지도에서 하나이상의 각각의 고유한 Entity 참조

 

5. 기준정보관리와 메타데이터의 비교

- 기준정보관리는 Item에 대한 기준정보 값을 동일하게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메타데이터 관리는 데이터 속성, 구조, 흐름 관리 등을 동일하게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음

구분 기준정보관리 메타데이터관리
주요관리관점 Item Value Schema
데이터Value - 기준정보 실제 값
- Application별 데이터값 동일
)홍길동, 서울강서구, 등산등
- 데이터의 속성,구조,위치,연결정보등
- Application Schema통일
)성명, 주소, 취미등
View - 단일 Item Data Value View
- 권한에 따른 Data항목 View통제
- 모델링 도구, 메타데이터 View구현
- Data Value가 아닌 구조/속성 View
Process Workflow를 통한 기준정보관리 통제 관리 프로세스의 시스템화 관리 필요
관리비용 기준정보에 대한 정제 비용 없음 데이터 값에 대한 정제 비용 발생

 

6. MDM 구현 시나리오

1) Content Consolidation

- 기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다른 방법으로 관리되고 있는 Master Data 정보를 모아서 통합 관리하고 활용

- MDM과 기존 응용 분리
2) Central Master Data Management

- Master Data Object의 모든 정보를 MDM 서버 중앙에서 관리하고 생성 및 유지보수도 MDM서버 중앙에서만 처리하며, 그 정보를 지역별 시스템인 MDC에 배분

- MDM 중앙 서버에 완전 통합관리
3) Master Data Harmonization

- Hybrid 방식으로 기준정보를 글로벌하게 관리할 속성과 지역별로 관리할 속성으로 나누어서 글로벌한 속성은 MDS에서 유지보수하고 다시 MDC에서 변경된 속성 값을 취합하여 MDS에 반영

- 분리와 통합의 절충형

7. MDM 도입 효과

- 데이터 품질향상 : 표준화된 데이터 항목, 처리 프로세스, 규칙 확립, 데이터 관계 및 역할 파악 용이, 접촉 및 이력 데이터 체계적 관리, 통합되고 일관된 고품질 데이터를 확보하여 전사 경영정보에 동일한 데이터가 활용
- 데이터 중복 방지 : 기준정보관리는 Application별로 관리되어 오던 동일 데이터에 대하여 단일 코드 부여, 속성 및 Value의 표준화를 통하여 유일한 데이터를 관리, 유지하며 중복 방지
- 의사소통 원활 : 업무 부서별로 같은 기준정보(Master Data)를 사용, View 하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데이터 및 정보 흐름 원활
- 데이터 관리 비용 축소 : 중앙에서 통제(읽기/쓰기)되어 생성/수정된 동일한 기준정보를 여러 시스템에 배포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관리/분석 비용 축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