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기본개념

[IT품질]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by 라이프해커 김탁구 2022. 11. 28.
반응형

1.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개요

1) 정의
-  SW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만들어진 CMM 모델의 그 대상에 따라 SW-CMM, SE-CMM, People CMM 등으로 나누어져 있던 것을 IT 조직 전체의 능력 수준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시스템공학, 기술인력, 구매 등의 전 영역을 하나의 모델로 통합하여 품질을 평가하는 모델
-  즉, 기존의 조직 성숙도(Maturity) 측면만을 측정하던 개념에서 프로세스 역량(Capability)까지 측정하기 위한 확장 모델
2) CMMI 배경(CMM 모델)
- 소프트웨어를 위한 성숙도 모델(SW-CMM)
- 시스템 엔지니어링 능력 성숙도 모델(Systems Engineering CMM: SE-CMM), 
- 소프트웨어 획득 능력 성숙도 모델(Software Acquisition Capability Maturity Model: SA-CMM), 
- 통합 제품 개발팀 모델(Integrated Product Development Team Model: IPD-CMM), 
- 시스템엔지니어링 능력 심사 모델(Systems Engineering Capability Assessment Model: SECAM)
- 시스템엔지니어링 능력 모델(Systems Engineering Capability Model: SECM) 등

3) CMMI의 시작
-  CMM 모델들의 모델간 상호 중첩과 구조의 상이함으로 인해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 각각의 모델 적용에 따른 중복 투자로 비용의 과다 지출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CMM 모델의 통합
4) CMMI의 구성
(1) P-CMM(People CMM) : 인적 자원 능력 성숙도 모델
(2) SA-CMM(Software Acquisition CMM) : SW 획득 과정의 능력을 개선
(3) SE-CMM(System Engineering CMM) :시스템 엔지니어링 능력 성숙도 모델
(4) IPD-CMM(Integrated product CMM) : 각기 진행되는 프로젝트 간 협동과 통합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활동

 

2. CMMI의 모델구조

1) 프로세스 영역 (Process Area)

- 프로세스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을 모아 놓은 것으로 하나의 프로세스 영역은 반드시 성숙단계 2∼5중 하나에 포함
- 예를 들어 ‘형상관리’ 및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영역은 성숙단계 2에 포함되어 있으며 ‘검증(Verification)’및 ‘확인(Validation)’프로세스 영역은 성숙단계 3에 포함  
-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영역은 성숙단계 4에 포함되어 프로세스 성숙단계별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활동 정의
2) 목적(Goal)

- 개별 프로세스 영역에서 해당 프로세스 영역에서 달성해야 하는 활동들의 특징을 기술하는 것
   . 특정 목적(Specific Goal: SG) : 특정 프로세스 영역과 관련된 목적이 충족되어야 하는 활동들의 특징이 기술
   . 일반목적(Generic Goal: GG) : 모든 프로세스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활동의 특징이 기술
3) 프랙티스(Practice)

- 프로세스 영역에서 정의하고 있는 목적이 충족되기 위해 수행되는 구체적인 활동
  . 특정 프랙티스(Specific Practice: SP) : 특정 목적이 충족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
  . 일반 프랙티스(Generic Practice: GP) :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스를 내재화하는 활동
4) 공동 수행 항목(Common Feature)

- 프로세스 영역 내에서 일반 프랙티스들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화한 것으로 단계적 표현 방법에 사용하는 개념으로 여기에는 수행 방침(Commitment to Perform: CO), 수행능력(Ability to Perform: AB), 직접 이행(Directing Implementation: DI), 이행 검증(Verifying Implementation: VE) 등 4가지의 활동 유형이 있음

 

3. CMMI 표현방법

구분 단계적 표현방법
Staged Representation Model
연속적 표현방법
Continuous Representative Model
개념 기 정의된 프로세스 집합을 평가해 이를 통해 조직의 전체 프로세스 능력을 알아보는 것 개별 프로세스 영역별 평가를 통해 개별 프로세스의 능력을 알아보는 것
Process Area Maturity Level로 그룹화 Capability Level로 그룹화
예제모델 SW-CMM[단계적 표현] SE-CMM[연속적으로 표현]
성숙도평가 1~5단계[SW-CMM과 유사] 0~5단계[SPICE와 유사]
특  징 - 성숙도 수준으로 조직간 비교모델
- 단일 등급체계 평가 결과이므로 이해 하기 쉬운 프로세스 개선 결과 제시
- 입증 순서로 개선 활동 제공
- 능력 수준을 프로세스에 적용
- 해당 프로세스 영역의 능력 수준을 결정하므로 프로세스 개선에 유연한 접근 방식
- 우선순위 기준 능력 수준 개선 가능

 

4. 조직 레벨별 성숙도 및 CMMI 25Pas

1) 조직 레벨별 성숙도

단계 설명
성숙 단계1
(
초기: Initial)
-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갖고 있지 않는 조직을 말함
- 개발 활동 자체가 정형화 되어 있지 않아서 어떠한 상황에 대해서는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임기응변식의 대응
- 예산 및 납기가 거의 지켜지지 않으며 때때로 개발 활동이 성공할 수 는 있으나 이는 조직의 프로세스 능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일부 개인의 능력에 의한 것
- 조직이 개인의 역량에 따라 좌지우지 될 수 있는 단계.
성숙 단계2
(
관리됨: Managed)
- 조직은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갖고 있음
- 이에 따라 업무가 수행되고 있고 기본적인 관리 활동들로부터 구체적인 특정 영역으로 프로세스의 체계가 확대 발전하는 조직
- 1)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계획이 있고, 2) 프로세스 수행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적절히 부여되어 있으며, 3) 조직원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며, 4) 작업 산출물들에 대하여 형상 관리가 실시되며, 5) 적절한 위치의 관리자와 함께 프로세스활동 및 진행 상태 및 결과에 대하여 적절히 검토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시정 조치 등을 하고 6) 관련 이해 관계자들이 식별되고 이들과 함께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성숙 단계3
(
정의됨: Defined)
- 조직 차원의 표준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젝트를 수행할 경우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
- 전체 조직 차원의 강력한 접근 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프로세스의 이용 측정치를 수집할 수 있음
- 프로세스 간의 관계가 정확히 이해돼 그 결과 조직에서 수행하는 프로세스들을 좀 더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조직의 비즈니스의 특성이 방영되는 단계
성숙 단계4
(
정량적으로 관리됨:
Quantitatively Managed)
- 프로세스들을 통계적이고 정략적으로 관리한는 조직
-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프로세스의 성과 등을 통계적으로 이해가 가능
- 조직의 프로세스들이 정량적으로 관리되는 단계로 조직이 의사 결정을 하거나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예측하여 이상 원인을 찾아 적절하게 시정 조치를 할 수 있는 단계.
성숙 단계5
(
최적화: Optimizing)
- 프로세스 성과 변동 중에서 일반적인 원인(Common cause)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
- 모든 조직원들이 건설적인 사고 및 행동으로 인해 결함은 감소되고 제품은 납기 내에 고객에게 제공되는 아주 이상적인 단계.

2) CMMI 25Pas

CMMI Process Mgmt Project Mgmt Engineering Support
Level 5
(최적)
OID:조직혁신 및 이행     CAR:원인분석 및 해결
Level 4
(정량)
OPP:조직 프로세스 성과 QPM:정량적 프로젝트 관리    
Level 3
(정의)
OPF:조직 프로세스 중점
OPD:조직 프로세스정의
OT:조직 훈련
IPM:통합프로젝트 관리
RSKM:위험관리
ISM:통합 공급자 관리-SS
IT:통합팀-IPPD
RD:요구사항개발
TS:기술 솔루션
PI:제품통합
VER:검증
VAL:확인
DAR:의사결정 분석 및 해결
OEI:통합조직 변경 – IPPD
Level 2
(
관리)
  PP:프로젝트계획
PMC:프로젝트 감시 및 통제
SAM:공급자계약관리
REQM:요구사항 관리 CM:형상관리
PPQA:프로세스 및제품품질보증
MA:측정 및분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