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젝트 범위 관리(Scope Management) 개요
1) 정의
-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일을 포함하되 반드시 필요한 일만을 포함하도록 관리하는 과정 입니다.
- 고객이 원하는 최종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 내에서 수행하고 이루어야 할 핵심 업무와 제반 업무에 대한 정의 및 이를 통제, 감시하고 관리하는 일련의 행위 입니다.
2) 프로젝트 범위 관리의 목적
- 계획하고 준비했던 일들의 완료 여부에 대한 기준 확립
- 추가 발생된 요구 사항 및 요건 정의에 대해 프로젝트 범위 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2. 범위 관리 프로세스
1) 계획 수립(Scope Planning)
- 프로젝트에서 범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정의하는 단계
- 출력물 : 범위관리 계획서
2) 범위 정의(Scope Definition)
-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뿐 아니라 프로젝트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 출력물 : 범위 기술서
3) WBS(작업분류체계) 작성(Creating WBS)
- 고객이 요구하는 기능(최종 산출물)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중간 산출물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문서
- 출력물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4) 범위 검증(Scope Verification)
- 앞서 정의한 프로젝트 업무 범위에 대해 고객의 승인을 획득하고 승인을 얻는 단계
-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공식적인 검증
5) 범위 통제(Scope Control)
- 프로젝트 범위를 변경하는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해당 변경의 영향력을 통제하는 단계
3. 단계별 사용도구 및 산출물
단 계 | 사용 도구 | 산출물 |
범위 계획 | - 전문가 판단 - 작업분류체계 템플릿 - 범위관리 계획서 템플릿 - 프로젝트 범위변경 통제양식 |
프로젝트 범위관리 계획서 |
범위 정의 | - 제품 분석 - 대안 분석 - 전문가 분석 - 이해관계자 분석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제품범위 기술서 제품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서 프로젝트 경계 프로젝트 인도물 제품 인수 기준 프로젝트 제약 프로젝트 가정 |
작업 분류체계 작성 | - 작업분류 체계 템플릿 - 분할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갱신) 작업분류 체계(WBS) 작업분류 체계 사전 범위 기준선 프로젝트 범위관리 계획서(갱신) |
범위 검증 | - 검사(Walkthrough) | -인수된 인도물 -변경요청 -경고된 시정조치 |
범위 통제 | - 변경통제 시스템 - 차이 분석 - 재 계획 - 형상관리 시스템 |
프로젝트 기술서(갱신) 작업분류 체계(갱신) 작업분류 체계 사전(갱신) |
4. WBS(Work Breakdown Structure)
1) 정의
- 프로젝트 팀에서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해 실행할 작업을 인도물 중심의 계층구조로 세분해 놓은 계층도
- 약 2주 전후의 주기로 이루어지는 소규모 작업 단계로 구성하며 작업의 우선순위와 상관관계를 구조적으로 표현
2) 특징
- 산출물 중심 : Activity 중심이 아닌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 중심으로 구성
- 의사소통 도구 : 이해당사자(stakeholder) 간의 의사소통에 표준을 제시
- R & R 정의 : 각 단계 업무의 역할(Role)과 책임(Responsibility)을 분명히 함
- 진척 관리 :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진척 정도에 대한 예상 가능
- 가시성 : 프로젝트 진행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한눈에 파악하기 쉬움
3) WBS 작성절차
(1) Activity Definition : 각 Activity 정의
(2) Activity Duration Estimating : Activity 실행 시간 분석
(3) Activity Planning : Activity 전후 관계 분석, 자원 소싱 및 할당
(4) Activity Execution : WBS 산출, WBS 실행
4) WBS 구성요소
요 소 | 설 명 |
Work Package | - WBS상의 최하위 작업 단위로 예산 및 일정 산정의 기준 |
WBS Dictionary | - 각 Work Package에 대한 상세 기술 - 개요, 일정, 예산, 책임자 등 |
Code of Account | - WBS의 각 요소를 고유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번호 배정 시스템 |
Activity List | -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모든 일정의 활동들에 대한 목록 - Work Package를 실제 수행할 내용으로 분할 |
Identifier | - WBS의 식별자 |
RAM | - 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 각 할당자 별로 각 Phase별 승인과 R(Review), 품질 검토자, I(Input), 투입물 책임자, P(Participant) 등의 기초가 됨 |
5. 프로젝트 범위 관리 시 기대효과 및 고려사항
1) 기대효과
- 프로젝트 이해당사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도구 활용
- 자원의 재배치 또는 자원의 초과 투입을 통한 프로젝트 납기 단축 가능(Crashing 또는 Fast Tracking)
- 진척 관리 및 공정 관리를 통한 품질 향상 가능성
2) 고려사항
- WBS의 각 작업에 자원과 비용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관리의 기본 자료로 사용
-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범위 정의를 통해 고객의 기대치 관리
- 각 단계별 주요 Milestone에서는 반드시 여유율 반영
- 의사소통이 원할하도록 표준적인 용어 사용
- 작업의 전후 관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함
- 기존 Material Data 활동을 통한 정성적, 정량적 계획 사례 및 정확도
'IT 기본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구축] MDA(Model Driven Architecture) (0) | 2022.12.01 |
---|---|
[IT보안]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0) | 2022.11.30 |
[IT품질]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0) | 2022.11.28 |
[IT구축] SCRUM 방법론 (0) | 2022.11.27 |
[IT구축]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방법론 (0) | 2022.11.27 |
댓글